별은 온도가 낮으면서 밀도가 높은 성운에서 탄생한다. 기체의 내부 압력에 비해 질량이 너무 커지면 중력 수축이 일어나며 기체 밀도가 높아지고 온도가 상승한다. 온도가 계속 상승하면 중심부에서 수소 원자핵들이 서로 결합하는 융합 반응이 일어나면서 원시별이 탄생한다. 이후 별의 표면 온도가 높아지면서 적외선 대신 가시 광선과 자외선을 방출한다. 이후 대부분의 별은 주계열을 따라 성장하며 적색거성 단계를 지나면 행성상 성운이나 초신성으로 폭발하면서 생을 마감한다. 이 때 별의 중심부를 이루던 물질들은 별의 질량에 따라 백색왜성·중성자별·블랙홀 등으로 변하며, 별의 폭발로 방출된 물질들은 다시 우주 공간으로 되돌아가 성운을 구성하는 물질이 된다. ① 가스나 먼지 - 우주 공간에 분포하는 가스나 먼지 등을 성간 물질이라 한다. 성간 물질의 밀도가 높아지면 성운을 형성한다. 성간 물질은 별을 탄생시키는 요람이기도 하지만, 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