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6세기에 우리 나라와 중국 해안에서 약탈을 하던 일본의 해적. 일본인 해적. [개설] 왜구(倭寇)는 고려말, 조선초에 가장 심했고, 특히 고려 말 약 40년간은 피해가 커서 고려 멸망의 한 요인이 되었다. 왜적의 침입은 삼국시대에도 빈번하였으며 그 피해도 적지 않았다. 왜구는 ‘왜가 도둑질한다’는 뜻이지만, 고려말 이래 그들의 약탈 행위가 잦아지면서 왜인들의 해적 행위를 표현하는 명사가 되었다. 왜구는 남북조 혼란기의 남조 세력권에 있던 규슈〔九州〕일대의 일본인들로서, 주요 근거지는 쓰시마〔對馬〕·마쓰우라〔松浦〕·이키〔壹岐〕등 지역이었다. 그러나 일본인 학자 중에는 왜구가 일본인과 고려인의 연합으로 구성되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발생배경] 14세기 중엽 이후 왜구가 크게 세력을 키워 한반도는 물론 중국 연해안까지 침략하게 된 것은 동아시아 정세 변화와 이와 관련된 일본 국내의 정세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 14세기 ...
200년을 주기로 임진왜란 일제강점기 가 일어남
세상어느나라가 한국가를 위해 대신 싸워 주던가!
임진왜란에 명나라가
일점강점기에 러시아가
6.25에 미국이
이제는 우리스스로를 지켜야 할때이다.
중국은 적당히 비위 맞춰주면 실보다 득이많고
일본은 잘해줘도 ㅈㄹ이다
일본을 조심하라 200년을 주기로 요번에는 미국을 부추겨 전쟁을 도발할때에는 세계 3차대전이 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