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레크리에이션 관리의 개념
|
교과명
|
조경관리
|
교사명
|
|
수업일시
|
|
능력단위
|
2장.이용 관리 계획
|
교재쪽
|
1005p
|
평가방법
|
|
능력단위요소
|
3.레크리에이션 관리
|
최종수업목표
|
|
세부수업목표
|
|
필요매체
장비/재료
|
|
단계
|
학습활동
|
학습내용
|
메모
|
|
1. 레크리에이션 관리의 개념
(1) 레크리에이션 자원의 관리원칙
① 레크리에이션 자원의 관리는 사회적 가치와 연계되어 있으므로,자원의 관리라 할지라도 이용자의 문제가 유지관리의 문제와 연관
② 자원의 보전도 중요하나 이용자의 레크리에이션 경험의 질도 중요
③ 부지의 변형은 가능
④ 접근성은 이용자의 결정적 영향요소
⑤ 레크리에이션 자원은 단순히 활동에 제공될 뿐만 아니라 자연적 경관미도 제공
⑥ 레크리에이션 자원의 파괴는 돌이킬 수 없는 한계가 있고, 파괴된 부지의 원상회복 불가능
(2) 옥외 레크리에이션 관리
① 부지의 생태적 측면(유지관리)과 이용에 관련된 사회적 측면(이용자관리)으로 구분
② 생태적 측면의 관리문제도 근본적으로는 이용자들의 레크리에이션이용에 따라 발생
③ 부지에 생태적 악영향을 미 치는 원인은 이용자들의 반달리즘(vandalism) 및 무지(ignorance), 과밀이용(overuse) 등
(3) 관리목표
각 공간의 성격과 기능에 따라 이용과 보전의 밸런스를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관리목표 설정
(4) 레크리에이션 공간의 관리전략
① 완전방임형 : 가장 원시적이고 재래적으로 적용 불가능
② 폐쇄 후 자연회복형 :자원중심형으로 자연지역의 경우에 적용할만 하나,이용자들의 불만 등으로 특별한 경우 외에는 적용 곤란
③ 폐쇄 후 육성관리 : 짧은 폐쇄 • 회복기에도 최대한의 회복효과를 얻을 수 있고,이용자에게 불편을 적게 줄 수 있으므로 손상이 심한 부지에 적합
④ 순환식 개방에 의한 휴식기간 확보 : 충분한 시설과 공간이 추가적으로 개발•확보되어야 가능
⑤ 계속적 개방•이용상태 하에서 육성관리 : 가장 이상적인 관리전략이나 최소한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한해서 유효한 방법으로,자연적 생산력이 크고 안정된 부지를 제외하고는 적용 곤란
|
I 레크레이션 관리 개념
이용자들의 쾌적한 레크리에
이션활동과 녹지공간의 만족
스러운 이용을 최대한 보장하
면서 레크리에이션 자원을 유
지.보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관리행위이다.
I 부지의 관리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① 부지의 위치
② 부지의 설계
③ 이용의 유형
④ 환경적 조건
⑤ 관리의 전략
I 관리목표설정의 3가지 기준
① 경제적 효율성
② 균형성
③ 공공적 요구의 부응
|
💖 부운영자님 에게 암호화폐로 후원하기 💖
아이콘을 클릭하면 지갑 주소가 자동으로 복사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