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정지 및 전정
(1) 정지 / 전정의 목적
1) 미관상의 목적
① 건전한 생육을 도모하고 수목 본래의 미(美) 제고
② 인공적 수형을 만들 경우 조형미 제고
2) 실용상의 목적
① 수목 본래의 목적을 달성토록 불필요한 줄기나 가지를 잘라내어 지엽 의 생육 건전화
② 한정된 공간 내 수목의 크기조정 및 조화 도모
③ 가로수 등은 하기(夏期)전정하여 통풍 원활,태풍의 피해 방지
3) 생리상의 목적
① 지엽이 밀생한 수목의 통풍과 채광의 확보로 병충해방지 및 풍해 • 설 해에 대한 저항력 증진
② 쇠약해진 수목의 지엽을 부분적으로 잘라 새로운 가지를 소생케 하여 수목의 활력 도모
③ 도장지,허약지 등을 제거하여 개화•결실 촉진
④ 이식수목의 지엽을 자르거나 잎을 훑어주어 수분의 균형유지
(2) 정지 / 전정의 효과
① 수관을 구성하는 주지와 부주지,측지를 균형 있게 발육시켜 각 수종 고 유의 수형과 아름다움 유지
② 수관내부에 햇빛과 통기로 병충해 억제 및 가지의 발육 촉진
③ 화목이나 과수의 경우 개화와 결실을 충실하게 유도
④ 도장지나 허약지 등을 제거하여 건전한 생육 도모
⑤ 수목의 형태 및 크기의 조절로 정원과 건축물의 조화 도모
⑥ 수목의 기능적 목적인 차폐•방화•방풍•방진•방음 등의 효과 제고
(3) 정지•전정의 분류
1) 조형을 위한 전정
① 수목 본래의 특성 및 자연과의 조화미,개성미, 수형 등을 환경에 이용
② 예술적 가치와 미 적 효과 발휘
③ 수목의 각 부분을 균형 있게 생육하기 위한 도장지 등 제거
I 정지•전정의 대상
도장지, 교차지, 역지,수하지,난지,병해지,허약지,밀생지,평행지,고사지,윤생지,대생지,근생아, 포복지, 얼지,정면으로 향한 가지 등
2) 생장을 조정하기 위한 전정
① 묘목이나 어린 나무의 병충해를 입은 가지나 고사지 및 손상지 등을 제거하여 생장을 조정
② 묘목 육성 시 아래쪽의 곁가지를 자르거나 곁가지의 끝을 다듬어 키 의 생장 촉진
③ 추위에 약한 수종이나 과수의 묘목 등은 주간을 잘라 주어 곁가지를 강하게 생육
3) 생장을 억제하기 위한 전정
① 수목의 일정한 형태 유지 : 산울타리 다듬기,소나무 새순 자르기,상록 활엽수의 잎사귀 따기 등과 침엽수와 상록활엽수의 정지•전정 작업
② 필요 이상으로 생육되지 않게 전정 : 작은 정원 내의 녹음수,도로변 가로수 등
③ 맹아력이 강한 수종(느티나무,배통나무,단풍나무, 모과나무 등)은 굵은가지의 길이를 줄여 성장억제,소나무의 순꺾기,팽나무•단풍나 무의 순따기와 잎따기로 도장 억제
4) 갱신을 위한 전정 : 맹아력이 강한 활엽수가 늙어 생기를 잃거나 개화상태 가 불량해진 묵은 가지를 잘라 새로운 가지가 나오게 하는 것(팽나무 등)
5) 생리조정을 위한 전정 : 이식 시 손상된 뿌리로부터 흡수되는 수분의 균 형을 위해 가지와 잎을 적당히 제거
6) 개화•결실을 촉진시 키기 위한 전정
① 과수나 화목류의 개화 촉진: 매화나무(개화 후 전정\ 장미 (수액 유동 전)
② 결실 : 감나무(개화 후 전정)
③ 개화와 결실 동시 촉진: 개나리,진달래 등(개화 후 전정),배나무(3년 앞을 보고 전정), 사과나무(뿌리의 절단 및 환상박피, 척박지 개량)
( 4 ) 정지•전정의 시기
1) 춘기전정(3〜5월)
① 수목의 생장기로,강전정을 하면 수세 쇠약 초래
② 수고를 늘리거나 상록수의 형태를 정리할 경우의 적기로,도장지 제 거나 적심(순지르기,순따기) 실시
③ 느티나무,벚나무 등의 낙엽활엽수는 영양생장기로 접어들어 신장생 장이 최대인 시기이므로 적심 • 적아 등의 소극적 전정만 실시
④ 봄에 꽃이 피는 화목류는 꽃이 진 후에 전정(진달래,철쭉류,목련류, 서향,동백나무 등)
⑤ 동백나무나 목련류는 눈의 바로 위에서 잘라 주어야 하나 진달래나 철쭉류는 눈의 유무에 관계없이 어느 위치에서나 전정 가능
⑥ 수형을 만들기 위한 전정은 봄에 맹아신장이 끝나는 시기에 1회 실시 하고 가을에 한번 더 전정하면 대부분 수형 유지
2) 하기전정(6〜8월)
① 수목의 생장이 활발하여 수형이 흐트러지고 도장지가 발생하며,수관 내 통풍이나 일조상태가 불량하여 병충해가 발생하는 시기의 전정
② 불량한 상태를 막기 위해 밀생된 부분을 솎아내고 도장지제거
③ 수목이 양분을 축적하는 시기로 강전정을 피하고 목적에 맞는 가벼운 전정을 2〜3회로 나누어 실시
④ 도장지는 길이의 1/2 정도를 먼저 잘라내어 힘을 약화시킨 후 기부로 부터 제거
⑤ 풍해에 대비하여 지주목 설치
3) 추기전정(9〜11월)
① 강전정을 하면,눈이 움직이거나 새로 나올 가지 등이 충실해지기 전 에 휴면기를 맞아 수세가 약해지게 되므로 수형을 다듬는 정도의 약 전정이 적당
② 상록활엽수도 가을전정이 적기로 되어 있으나 강전정은 피하는 것이 적당(10월은 남부지방의 추기전정 적기)
4) 동기전정(12니월)
① 휴면기간 중에 굵은가지의 솎아내기나 베어내기와 같은 수형을 다듬 기 위한 강전정을 해도 무방(너무 심한 강전정은 주의)
② 상록활엽수는 절단부위로 한기가 스며들어 피해를 입히므로 추운지 방에서는 동기전정을 피하고 해토될 무렵 실시
③ 낙엽수는 잎이 떨어진 뒤 수형의 판별이 쉬워 불필요한 가지 제거 용이
전정시기의 분류 ======>나중에 추가.
(5) 정지■ 전정의 방법
1) 정지 •전정 시 고려사항
① 주변환경과의 조화
② 수목의 생리,생태특성 등의 파악
③ 각 가지의 세력을 평균화하고 수목의 미관 유지
2) 정지•전정의 일반원칙
① 무성하게 자란 가지 제거
② 지나치게 길게 자란 가지 제거
③ 수목의 주지는 하나로 자라게 유도
④ 평행지 만들지 않기
⑤ 수형이 균형을 잃을 정도의 도장지 제거
⑥ 역지,수하지 및 난지 제거
⑦ 같은 모양의 가지나 정 면으로 향한 가지는 만들지 않기
⑧ 뿌리자람의 방향과 가지의 유인 고려
⑨ 기타 불필요한 가지 제거
3) 수형정돈

① 전정은 수종별,형상별 등 필요에 따라 견본전정 실시
② 굵은가지의 전정은 생장할 수 있는 눈을 남기지 않고 기부로 부터 가지를 자르거나 길이를 줄이는 방법으로 수종 • 수형 등 을 고려하여 제거
③ 가지의 방향이 교차되지 않고 사방으로 퍼지도록 실시
④ 상하의 가지간격이 균형되게 하고 같은 높이에서 나는 가지 정 리
⑤ 주지의 길이는 수형에 어울리도록 정리
⑥ 작은 가지의 전정은 마디 의 바로 윗 눈이 나온 부위의 상부로부터 반 대편으로 경사지게 절단
4) 산울타리전정
① 식재 3년 후부터 제대로 된 전정 실시
② 맹아력을 고려하여 연 2〜3회 실시
③ 높은 울타리는 옆부터 하고 위를 전정
④ 상부는 깊게 하부는 얄게 전정
⑤ 높이 1.5m 이상일 경우 윗부분이 좁은 사다리꼴 형태로 전정
5) 가로수전정
① 생육공간에 제약이 없어 자연생육이 가능한 장소의 전정은 수형의 형 성에 장애가 되는 불용지 제거
② 생육공간에 제약이 있어 자연생육이 불가능한 경우 제한공간 내에 골 격이 되는 주지를 가능한 길게 하여 수형을 유지하고, 동계전정 시 즉지의 일부를 갱신하는 것으로 수형 유지
③ 도심부에 맹아력이 강한 버즘나무,버드나무 등은 같은 부위를 계속 전정하여 혹을 형성시켜 조형미 조성
④ 가로수의 전정은 노선에 따라 실시
⑤ 생육공간의 제약
- 고압선이 있는 경우 고압선보다 1m 밑까지를 한도로 유지하며,그 이상의 수고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는 수관 내에 통로 설치
- 제일 밑가지는 가능한 도로와 평행이 되도록 유지하며,보도측 지하 고는 2.5m 이상,최소 2.0m 확보
- 보도측 건물의 외벽으로부터 수관 끝에서 1m 이격거리 확보
6) 정지■전정의 순서 및 요령
① 전체적 수형을 고려하여 스케치
② 주지선정
③ 고사지,병해지 등 꼭 제거해야 할 대상 제거
④ 수형을 위한 전정은 위에서 아래로,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며 실시-수관선고려
⑤ 수관의 밖에서부터 안쪽으로 실시
⑥ 상부는 강하게 하부는 약하게 전정 - 정부우세성
7) 정지•전정의 도구
① 사다리 : 손이 닿지 않는 키 가 큰 나무에 사용
② 톱: 전정가위로 자르기 힘든 큰 가지나 노목의 갱신에 사용(대지용,소지용,전동톱 등)
③ 전정가위:조경수목이나 분재의 전정에 가장 많이 사용
④ 적심가위(순치기가위) : 주로 연하고 부드러운 가지나 끝순,햇순,수 관 내부의 약한 가지,꽃꽂이용으로 사용
⑤ 적과•적화가위 : 꽃눈이나 열매를 솎을 때,과일의 수확에 사용
⑥ 고지가위: 높은 곳의 가지나 열매를 채취할 때 사다리를 이용하지 않 고 지면에서 사용
⑦ 긴자루 전정가위 : 일반적으로 쓰는 전정가위 또는 지름 3cm 이상의 굵은 가지를 자를 때 쓰는 대형 가위
⑧ 산울타리 전정가위 : 쥐똥나무,회양목,사철나무,향나무 등의 산울타 리의 가지나 잎을 빨리 다듬기 위한 가위 -전기,전동식,수동
⑨ 혹가위, 보조용 칼,삽, 로우프,예취 기 등
(6) 정지•전정의 기술
1) 전정
① 굵은가지를 치는 방법 : 다음에 생장할 수 있는 눈을 하나도 남기지 않 고 기부로부터 바싹 가지를 자르거나 줄기의 길이를 줄이는 방법
- 상록수는 2/3 정도,낙엽수1/3 정도를 표준으로 실시 © 일반적으로 침엽수와 낙엽수는 봄눈이 움직이기 전이 적당 © 강풍으로 인한 절손의 피해 시 바로 실시
- 단풍나무는 11〜12월 상순,상록활엽수 4월 상•중순이 적당
② 가지의 길이를 줄이는 방법 : 수형의 생장속도를 억제하거나 수형의 균형유지, 수령,신초,강도 등을 고려하여 필요 이상 자란 가지의 길 이를 줄이는 방법
- 곁눈은 끝눈 대신 생장하므로 원하는 방향으로 대생과 호생을 고려 하여 엽아 바로 위에서 잘라 주고 아래쪽 눈은 남김
- 줄이는 위치는 남겨야 할 눈 위 3~4cm 정도에서 비스듬히 절단
- 상록활엽수와 침엽수류는 4월부터 장마 전까지,낙엽수는 낙엽 직후 부터 싹이 트기 전까지 실시
- 이른 봄에 꽃피는 나무는 꽃이 진 후 실시(진달래,철쭉류,개나리, 벚나무,라일락,목련류 등)
- 여름 안에 꽃피는 나무는 휴면기부터 이른 봄에 실시해도 무방(무궁 화,배롱나무,능소화,싸리 등)
- 강한 가지를 만들려면 가지를 짧게 줄여야 하고,약하게 가지를 신 장시키려면 길게 남겨서 실시
③ 가지를 속는 방법 : 밀생상태에 놓여있는 잔가지나 불필요한 도장지 등을 그 밑둥으로부터 쳐 버리는 작업 -2〜3년에 한 번 실시
- 내부의 가지가 말라 죽지 않게 되고,흰가루병이나 깍지벌레등 병충해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
- 낙엽수류는 낙엽이 진 뒤, 상록활엽수나 침엽수는 혹한기를 제외한 시기
④ 부정아를 자라게 하는 방법 : 수목을 젊어지게 하는 동시에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 실시하며,산울타리 조성용 수목(회양목,사철나무, 아왜나무 등)과 은행나무,가시나무 등 전정에 강하고 부정아가 생기기 쉬운 나무에 적용


2) 깎아다듬기
① 신초의 발육이 정지되었거나 정지기에 가까워지는 늦은 봄부터 6월
중순경까지와 9월에 다시 한 번 실시
② 수형 이 만들어진 뒤에는 매년 신초만 다듬어 수형유지
③ 깎아다듬기 전에 밀생한 내부의 가지를 솎아내고,생울타리는 신초뿐만 아니라 굵은 가지를 내려 잘라서 낮은 부분으로부터 신아가 발생
하도록 다듬기 실시
3) 적아와 적심
① 상록수의 경우 7〜8월경에 1회 정도 실시하며,낙엽수의 경우 이른 봄의 신아 발생기에 한 번,여름에 들어서 두 번째 실시
② 소나무류 순자르기
- 해마다 눈을 잘라 나무의 신장을 억제하고, 잔가지가 많이 형성되도록 하여 아름다운 소나무 수형을 단시간 내에 만들기가 가능
- 4〜5월경에 새순이 5〜10cm의 길이로 자랐을 때 새순 1〜2개만 남기고 나머지는 따버린 후,5월 중순경 순의 길이를 1/3〜2/3 정도 줄여 줌 - 가위 대신 손으로 작업
② 등나무 순자르기는 7월 중순경 지나치게 자란 덩굴을 적당히 제거
③ 적아는 전정작업으로 피해를 입기 쉬운 나무(자작나무,벚나무)나 줄기가 연해서 썩기 쉬운 나무(모란)에 적당
④ 적초는 회양목 생울타리를 깎아 다듬기하거나 가로수(버즘나무, 개오등나무 등)의 일정 높이에서 절두,절간의 정지와 같은 방법으로 이용
4) 적엽(잎따기)
① 일반활엽수:7〜8월경 고엽의 성숙기에 하고 불필요한 신초부 제거
② 상록활엽수: 늦여름에 잎따기를 하여 생장을 억제하고 수형 왜소화
③ 삼나무와 편백 등의 침엽수는 잎과 가지의 구별이 불분명하기에 전지라고 하며 3〜8월에 끝부분의 연한 잎 제거
④ 소나무류는 순자르기를 한 뒤 신엽이 굳어진 8월경에 묵은잎 따기 실시 - 수형을 더 아름답게 하거나 일정한 크기로 유지하기 위해 실시
5) 유인
① 흑송,단풍나무, 주목,매화나무,벚나무,느티나무 등에 실시
② 가지를 유인해야 할 거리가 멀수록 능률적이나 휘어지는 한도 고려해 일정기간을 두고 서서히 적은 거리로 유인하는 것이 적당
6) 단근(전근)
① 수령 이나 신장상태 에 따라 다르나 굵은 뿌리만을 대상으로 하고 가는 뿌리는 남김
② 이른봄 눈이 움직이기 직전에 하는 것이 좋으며,2〜3년에 한번 정도 실시로 충분

7) 아상
① 이른 봄에 실시
② 눈의 상단 아상: 양분의 흐름이 멈춰 눈이 충실해져 꽃눈 형성
③ 눈의 하단 아상 : 위쪽으로 양분이 이동되지 않으므로 생장억제

8) 가지비틀기
① 어린 가지를 대상으로 8월경에 실시
② 소나무류의 경우 신초를 자르지 않고 비틀어서 양분의 상승을 막고
꽃눈.형성 조장
|
I 정지•전정의 용어
① 전정 (pruning) : 수목의 관 상,개화•결실, 생육조절 등 조경수의 건전한 발육을 위 해 가지나 줄기의 일부를 잘라내는 정리작업
② 정 지 (training): 수목의 수형 을 영구히 유지 또는 보존 하기 위하여 줄기나 가지의 생장을 조절하여 목적에 맞 는 수형을 인위적으로 반들 어가는 기초정리작업
③ 정자 (trimming) : 나무전체 의 모양을 일정한 양식에 따라 다듬는 것. 전정•다듬 기.가지의 유인•수간의 교 정 등의 조작으로 나무의 외모를 정돈되고 아름답게 하는 작업
④ 전제(trailing) : 생장력에는 무관한 필요 없는 가지나 생육에 방해가 되는 가지를 잘라버 리는 작업
I 수목류의 전정
① 전정은 다듬기(heading)와 속아내기 (thinning)로 구분 하며, 수세,미관,통풍,채 광 등을 고려한다.
② 도심부의 수목의 수고를 낮 추어야 할 경우, 사슴뿔모 양으로 조형미를 살리고 1〜3년마다 정리하여 끝부 분에 혹을 형성 (pollarding) 시킨다.
I 전정의 종류
① 약전정 : 수관내의 통풍이나 일조 상태의 불량에 대비하 여 밀생된 부분을 솎아 내 거나 도장지 등을 잘라내어 수형을 다듬는다.
② 강전정 : 굵은가지 솎아내기 및 장애지 베어내기 등으로 수형을 다듬는다.
③ 생장이 왕성한 유목은 강전 정, 노목은 약전정 실시
I 적심과 적아
① 적심 :불필요한 곁가지를 없 애기 위해 신초의 끝부분을 제거하는 것-순지르기
② 적아:불필요한 곁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것
■ 전정 횟수
① 전정의 횟수는 수형,수종, 식재목적,식재장소 등의 여건을 고려하여 정한다.
② 관목류의 전정 횟수는 연간 1회를 기준으로 한다.
③ 교목류의 전정 횟수는 연간 1회를 기준으로 하되, 여건 에 따라 추가하거나 2〜3년 마다 1회 시행할 수 있다.
I 일반적 전정시기(시방서)
① 하계전정(6~8월) :수목의 정 상적인 생육장애요인의 제 거 및 외관적인 수형을 다듬 기 위해 실시하며, 도장지 .포복지.맹아지.평행지 등 을 제거한다.
② 동계전장(12〜3월): 수형을 잡아주기 위한 굵은가지 전 정으로 허약지•병든가지-교 차지 •내향지 등을 제거한다.
I 수종별 전정시기(설계기준)
① 낙엽활엽수:7〜8월, 11~3월
② 상록활엽수: 5〜6월,9〜10월
③ 상록침엽수: 10〜11월,이른봄
④ 협죽도, 배롱나무. 싸리 등 은 가을부터 이듬해 봄의 발아 전까지
! ⑤수국,매실,복숭아, 동백, 개나리,서향, 치자, 철쭉류 등은 낙화 직후
⑥ 매실,복숭아,개나리, 히어 리 등은 화아분화 후
I C/N율
동화작용에 의해서 만들어진 탄수화물(C)과 뿌리에서 흡수 된 질소(N)성분이 수체 내에 저장되는 비율로서, 재배환경, 전정정도에 따라 가지생장,꽃 눈형성 및 결실 등에 영향을 미친다.
① C/N율 고: 생장장애,꽃눈 많 아짐,T/R율이 높을 때
② C/N율 저 : 도장,성숙이 늦음, T/R율이 낮을 때
■ T/R 율
나무의 지상부(top)와 지하부 (root) 생장의 중량비율로 일반 적인 식물은 1에 가까우며,토 양 내의 수분이 많거나 질소의 과다사용, 일조부족, 석회부족 등의 경우에는 커지게 된다.
■ 정자•전정 대상
① 고사지 : 생장이 멈추어 죽은 가지
② 허약지 : 생육이 부실한 허약 한가지
③ 교차지 : 두개의 가지 가 서로 엇갈리며 자란 가지
④ 도장지 : 생육이 지나치 게 왕 성하여 웃자란 가지
⑤ 역지(내향지) :가지의 생장 방향이 다른 가지와 다른 것
⑥ 수하지 : 아래로 똑바로 향한 가지
⑦ 윤생지 : 한 곳에서 수레바퀴 처럼 사방으로 자란 가지(소나 무,전나무, 가문비 나무 등)
⑧ 대생지 :줄기의 같은 높이에 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마주 자란 가지
I 두목작업(pollarding)
입목(立木)을 지상 1~2m 높이 에서 자르고 자른 부분에서 발 생하는 맹아(南芽)만 매년 채 취하는 작업을 말한다. 맹아채 취를 오랫동안 계속하면 맹아 채취 부분(자른 부분)이 굵어 져서 사람의 머리 모양이 된다 하여 두목작업이라고 한다. 두 목작업의 목적은 연료•퇴비 •사 료 등의 채취에 있고,참나무 •아까시나무•포플러 등 활엽수 가 대상 수종이 된다.
I 정부우세성(정아우세성)
나무 윗부분의 눈이 가장 원기 있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약하 다는 특성으로, 전정의 강도를 이 특성에 따라 상부는 강하게 하부는 약하게 하는 것이다.
■ 전정
너무 무성하게 자라서 가지의 발육에 지장을 받거나 햇볕과 통풍의 불충분으로 인한 병해 충의 침입을 방지하고,꽃눈의 발생을 촉진하며, 뿌리와 지상 부와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다.
I 엽아(葉芽)
자라서 가지나 잎이 될 눈
■ 부정아
잎,뿌리 또는 줄기의 마디 사
이 등 보통은 눈을 형성하지 않
는 부분에 생기는 싹의 총칭으
로, 일정 부위에 생기는 정아에
비견해 부정아라고 하나 싹 형
성의 발생적 조건이 갖추어진
조직에 한해서 실현되므로 정
아와 부정아의 구별은 기관학
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깎아다듬기
수관 전체를 고르게 다듬어 구
형, 반구형, 타원형이나 산을
타리의 경우와 같이 각형, 파
상형 등의 형태로 만드는 작업
I 적아와 적심(순지르기)
적아는 불필요한 겨드랑이눈
(곁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
거하는 것이며,적심은 불필요
한 곁가지를 없애고 지나치게
자라는 가지의 신장을 억제하
기 위하여 신초의 끝부분을 제
거하는 것으로, 상장생장(上長
生長)을 정지시키고 곁눈의 발
육을 촉진시켜 새로운 가지의
배치를 고르게 하고 개화작용
을 조장한다.
■ 순자르기
과도한 곁가지를 방지하기 위
하여 햇가지의 선단을 잘라주
는 것으로 순지르기보다는 길
게 남기고 잘라낸다.
■ 적엽
지나치게 우거진 잎이나 묵은
잎을 따버리는 작업으로, 필요
에 따라 작업을 해주어야 세력
의 균형이 파괴되지 않는다.
■ 유인
가지의 생장을 정지시켜 도장을 억제하거나 착화를 좋게 하고,줄기의 형태를 조절하는 등의 목적으로 실시-지주목,철사,새끼, 끈 등을 이용한 기계적 조작
■ 단근
수목의 뿌리와 지상부의 균형
유지 및 뿌리의 노화방지,수목
의 도장억제,아래가지의 발육
증진,꽃눈의 수를 늘이기 위해
뿌리의 일부를 자르는 작업
■아상
원하는 자리에 새로운 가지를
나오게 하거나 꽃눈을 형성시
키기 위한 작업으로, 눈의 위
쪽이나 아래쪽의 목질부에 상
처를 줘 뿌리의 양분이나 수분
의 공급을 차단하여 성장을 억
제하거나촉진 양분은 이곳에서
일시적으로 그침으로 인해서 눈이 충
실하여 져 꽃눈이 될 수 있다.
표피와
■ 가지비틀기
가지가 너무 뻗어가는 것을 막
고,착화가 잘되도록 하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