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시비
(1) 토양•양분 및 식물생육과의 관계
1) 토양의 물리적 성질
① 토성 : 토양의 입자크기를 말하며,토양에 흡수된 양분의 양과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며,점토보다는 사토의 경우 더 자주 시비
② 토심 : 수목이 이용할 수 있는 양분과 수분보유능력 결정 - 뿌리의 깊고 넓음에 따라 양분과 수분의 흡수능력 차이 발생
③ 토양구조 : 토양입자의 배 열상태 에 따라 근계의 발달과 양분흡수,통기성,투수성 등에 관계
2) 토양의 화학적 성질 : 식물생육에 필요한 원소는 거의 토양에서 흡수
① C 및 O는 CO2의 상태로 흡수되며 O는 대기나 토양에서 흡수
② 미량원소는 소량으로 요구되나 다른 원소로 대체 불가능
3)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의 검증법
① 토양분석 : 수목의 식재 전에 토양의 가용양분 및 pH 등 측정
② 식물체 분석 : 양분의 부족으로 식물체에 나타난 증상을 육안으로 관
찰하여 양분의 부족현상 판단 - 아조(shoot) 생장기간,엽색,낙엽기 등 관찰
③ 식물의 조직분석 : 주로 잎을 대상으로 특정한 양분의 부족현상을 알
아내는데 이용
④ 양분시험법 : 2개의 조사구(처리구,무처리구)를 설치하여 식물의 양분 요구도에 대한 조사-시간의 상당한 소요로 비현실적
⑤ 엽면살포법 : 양분결핍의 의심이 있을 때 양분을 엽면에 살포하거나 붓으로 바른 후 반응 조사(3,4일〜2주 정도 소요)
(2) 결핍도 양분의 현상과 보정
1) 다량원소의 양분현상
원소 |
내용 |
질소 (N) |
기능 |
원형질의 주요 구성분으로 단백질이나 핵산 등의 질소화합물을 만드는 원 료로써 매우 중요한 성분, 줄기와 잎의 생육 및 뿌리와 열매에도 필요
|
결핍현상 |
- 활엽수 : 잎이 황록색으로 변하고, 잎의 크기가 다소 작고 두꺼워지며, 잎 수가 적어지고, 조기 낙엽과 눈(shoot)의 지름이 다소 짧아지고 작아지며,적색 또는 적자색으로 변색
- 침엽수 : 침엽이 짧아지고 황색으로 변하며, 개엽 상태가 다소 빈약 하고, 수관의 하부는 황색으로 변색
|
시비방법 |
- 토양시비: 질소 1~2kg/100m2
- 엽면시비: 질소 1kg/물 100L
|
인(P) |
기능 |
세포핵, 분열조직, 효소를 구성하여 세포분열이나 유전현상을 지배, 물질의 합성, 분해반응에 중요한 작용, 꽃눈의 생장을 돕고 개화•결실을 좋게 하여 수를 증가시키고, 꽃이나 과실의 생장 촉진
|
결핍현상 |
활엽수: 엽맥, 엽병 및 잎의 밑부분이 적색 또는 자색으로 변하며, 눈의 지름이 보다 가늘어지고, 꽃의 수도 적게 맺히며, 열매의 크기도 작아짐
• 침엽수: 침엽이 구부러지며 나무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점차 고사
|
시비방법 |
• 사질토: 인산 1~2kg/100m2
• 점토 : 인산 2~4kg/100m2
|
칼륨(K) |
기능 |
산성화 된 토양을 알칼리성으로 변환, 뿌리나 줄기를 튼튼하게 하며, 세포 막을 두팁게 하고 줄기와 잎을 튼튼하게 하여 병해에 대한 저항성이나 내한 성 증가, 일조량 부족에 대한 생리적 보충
|
결핍현상
|
• 활엽수 : 잎이 황색으로 변하며 쭈굴쭈굴해지거나 위쪽으로 말리고,화아 는 매우 적게 맺히며 눈의 끝부분이 고사
• 침엽수: 침엽이 황색 또는 적갈색으로 변하며 끝부분이 괴사
• 묘목의 경우 수고가 낮아지고 눈이 많이 달리고,서리의 피해 용이
|
시비방법
|
• 사질토: 칼륨비료 2~8kg/100m2
• 점토 : 칼륨비료 8~15kg/100m2
|
칼슘(석회 Ca) |
기능 |
분열조직의 생장, 잎의 세포핵이나 뿌리의 생장점을 보강하여 세포막을 강 건하게 하고 세포내로 들어가는 해로운 물질을 방어, 식물체의 웃자람을 막 고 체내에 유기산과 결합하여 중화시켜 축적되는 노폐물을 제거
|
결핍현상
|
■ 활엽수: 잎의 백화 및 괴사, 잎의 크기가 다소 작아지며 잎의 끝부분이 뒤틀리거나 고사하고, 뿌리의 끝부분도 갑자기 짧아져 고사
- 침엽수: 정댄생장점)부분의 생육이 정지되며 잎의 끝부분이 고사
|
시비방법
|
- 알칼리성 토양의 사질토 : 황산칼슘 40~75kg/100m2 • 알칼리성 토양의 점토 : 황산칼슘 75~150kg/100m2
|
마그네숨
(고토 Mg)
|
기능 |
엽록소의 구성성분으로 광합성의 중심적 역할
|
결핍현상
|
- 활엽수 : 잎이 보다 얇아져 부스러지기 쉬우며 조기에 낙엽이 되고,성숙 된 잎에는 백화현상이 나타나며 열매는 작게 결실
• 침엽수: 잎의 끝부분이 황색이나 적색으로 변색
|
시비방법
|
• 사토: 황산마그네슘 12~25kg/100m2
- 점토: 황산마그네슘 25~35kg/100m2
• 엽면시비 : 황산마그네슘 2.5kg/물 100C
|
② 추비 (追肥 웃거름• 덧거름) : 수목의 생육 중 수세회복을 위하여 추가로 주는 비료로 영양을 보충하는 시기에 주는 비료
- 주로 속효성 무기 질(화학)비료를 수목의 생장기인 4월 하순〜6월 하 순에 시비
- 꽃눈의 분화 촉진을 위해 꽃눈이 생기기 직전에 사용
- 년1회에서 수회 식물의 상태에 따라 시비
수목의 양료요구도
양료요구도 |
수종 |
높음
(
비옥지선호)
|
• 활엽수 : 감나무,느티나무,단풍나무, 대추나무,동백나무,매화나무,모과나무, 물푸레나무,배롱나무,버즘나무,벚나무,오동나무,이팝나무,칠엽수,툴립나 무,피나무,호두나무,회화나무
• 침엽수 : 금송,낙우송,독일가문비나무, 삼나무,주목,측백
|
중간
|
■ 활엽수: 가시나무류, 버드나무류, 자귀나무, 자작나무, 포플러
■ 침엽수: 가문비나무, 미송,솔송나무,잣나무, 젓나무
|
낮음(내척박성)
|
• 활엽수: 등나무,보리수나무,소귀나무,싸리나무류,아까시나무,오리나무,참나 무류,해당화
• 침엽수: 곰솔,노간주나무,대왕송,방크스소나무,소나무,향나무
|
(4) 조경수목류의 시비
① 수종과 크기를 고려하여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 및 시비횟수 결정
② 화목류의 기비(밑거름)는 이른 봄에 퇴비(우분,돈분,계분 등에 왕겨, 짚,톱밥 등을 섞어 부식시킨 것) 등 완효성 유기질 버료(5〜20kg/주)와 질소,인산,칼륨 각각 6g/m2를 추가하여 시 비
③ 화목류의 추비(덧거름)는 꽃이나 열매가 관상 대상인 수목의 관상기가 끝난 후 수세를 회복시키기 위하여 실시하거나 가을에 실시
④ 가을에 시비하늘 추비에 질소질비료가 많으면 내한성이 약해져서 동해 '를 받기 쉬우므로 질소,인산,칼륨 각각 lOg/m2의 기준을 지킬 것
⑤ 일반 조경수목류의 기 비는 유기질 비료를 늦가을 낙엽 후 땅이 얼기 전 (10월 하순〜11월 하순) 또는 2월 하순〜3월 하순의 잎 피기 전에 연 1 회를 기준으로 시비 - 관목•소교목 5kg/주, 중교목 10kg/주,대교목 20kg/주
⑥ 일반 조경수목류의 추비는 화학비료를 수목생장기 인 4월 하순〜6월 하 순에 1회 시 비 - 질소 10g/m2,인산 10g/m2, 칼륨 20g/m2
⑦ 이식한 수목,수세가 쇠약해진 수목은 엽면시비,영양제 수간주사를 시 비하여 빠른 수세회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것
⑧ 화목류는 7〜8월에 인산질 비료를 많이 주어 화아형성 촉진
(5) 시비방법
1) 표토시비법 : 땅의 표면에 직접 비료를 주는 방법으로 시비 후 관수
① 작업이 비교적 신속하나 비료의 유실량 과대
② 토양내의 이동속도가 느린 양분은 부적당
③ 질소(N)시비에 적당하며 인(P)과 칼름(K)은 부적당
2) 토양내 시비법 : 시비목적으로 땅을 갈거나 구덩이를 파고, 또는 주사식(관주)으로 비료성분을 직접 토양내부로 유입시키는 방법
① 비교적 용해하기 어려운 비료의 시비에 효과적
② 토양수분이 적당히 유지될 때에 시비
③ 구덩이는 깊이 25~30cm, 폭 20〜30cm 정도,간격 0.6-1.5m 정도로 설치


시비방법
구분 |
내용 |
방사성시비 |
수간을 중심으로 빛이 밖으로 퍼져나가는 형태로 구덩이를 파고 시비(구덩이 길이는 수관폭의 1/3 정도)
1회 시비에 수목을 중심으로 2개소에, 2회 시비에는 1회 시비의 중간위치 2개소에 시비
교목이 넓은 간격으로 식재된 경우 적용
|
윤상시비
|
• 수간을 중심으로 수관을 형성하는 가지 끝 아래에 동그랗게(윤상) 도랑을 파서
거름을 주는 방법
|
전면시비
|
• 한 그루씩 거름을 주기 어려운 경우 전면적으로 비료를 살포
• 작은 나무들이 가깝게 식재된 경우 적:용
|
대상시비
|
• 윤상시비와 비슷하나 구덩이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일정 간격을 띄어 실시
• 이듬해에 위치를 바꾸어 시비
|
점시비
|
- 구덩이를 대상시비보다 적게 만들어 시비
- 적당한 위치를 정하여 구덩이 파기
|
선상시비 |
- 구덩이를 대상시비보다 적게 만들어 시비
- 적당한 위치를 정하여 구덩이 파기
|
천공시비 |
오거(power auger) 를 사용하여 직경 3~4cm, 깊이 15cm 정도로 구멍을 뚫고 시비
• 수관의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들어오며 0.6~1.0m 간격(100m2당 100~275개의 구멍) 으로 천공
- 뿌리가 많은 관목집단에 적용
|
가로수 및 수목보호홀의 시비 |
• 측공시비법(수목근부 외곽표면을 파내어 비료를 넣는 방법)으로 시행하며, 깊이 10cm 정도 파고 수량을 일정간격으로 넣고 복토
|
3) 엽면시비법 : 비료를 물에 희석하여 직접 나뭇잎에 살포
① 미량원소 부족 시 효과적이며,쾌청한 날에 실시
② 보통 물 100L당 60〜120mL 의 비율로 희석하여 사용
③ 이식목의 활착,동해회복에 효과적
4) 수간주사(수간주입법) : 여타의 방법으로 시비가 곤란한 경우나 효과가 낮은 경우 사용
①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특수한 경우에 적용
② 수액이동과 증산작용이 활발한 4월 ~9월의 맑은 날에 실시

|
I 시비
수목이 보다 충실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천연 또는 인공의
양분을 공급하는 적극적인 수
목관리의 방법으로 비교적 어
린나무를 대상으로 한다.
I 식물의 원소(16)
탄소(C), 수소(H), 산소(O), 질
소(N), 인(P), 칼를(K), 칼슘
(Ca), 마그네숨(Mg), 황(S), 철
(Fe), 망간(Mn), 붕소(B), 아연
(Zn), 구리(Cu), 몰리브덴(Mo),
염소 (Cl)
I 식물의 10대 원소
C, H, O, N, P, K, Ca, Mg, S,Fe
식물생육 필수원소
① 필수다량원소:
C,H,O,N,P, K,Ca, Mg, S
② 필수미량원소 :
Fe, Mn, B,Zn, Cu, Mo, Cl
I 비료의 3요소
① 질소(N)
② 인산(P2O2)
③ 칼리 (K2O)
■ 원형질
동식물의 세포에서 생활에 직 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물질계 로,핵•세포질을 포함하는 세포내의 ‘살아 있는물질계’를 가리킨다.
I 길항작용(antagonism)
① 상반되는 두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여 그 효과를 서로 상쇄시켜 없애거나 감소시 키는 작용
② 마그네슘과 칼름은 길항작 용으로 인하여 마그네슘의 결핍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시비 시에는 마그네슘과 칼 륨의 비율이 2:1 정도가 되 게 한다.
■ 시비시기
양분의 종류,함량,방법,토성, 배수정도,기상상태 및 수목의 양료요구수준에 따라 달라지나 대부분의 경우 수목이 왕성하 게 생육을 시작하는 봄에 시비 하나,질소질비료의 경우는 생 육에 곧바로 이용하도록 가을 에 시비하기도 한다.
■ 시비구덩이 위치
일반적으로 성숙된 조경수목에 비료를 주는 부위는 수관외주선의 지상투영부위 20cm 내외가 적당하다.

I 시비 시 주의사항
① 수간의 밑동 가까이 시비하
지 않는다.(근원직경 3〜7배
이격)
② 비료가 뿌리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다.
I 수간주사 실시방법
① 주사액이 형성층에 도달하
도록 실시
② 수간주입기를 사람의 키높
이 (1.5~1.8m) 정도에 설치
③ 나무 밑에서부터 5~10cm되
는 곳에 드릴로 지름 5mm,
깊이 3~4cm가 되도록 하
고,구멍을 20-30° 각도로
비스듬히 천공
④ 먼저 뚫은 구멍의 반대편에
나무 밑에서부터 10~15cm
되는 곳에 같은 방법으로 1개
더 천공
⑤ 양쪽 구멍에 주사기를 꽂은
후 약액 주입
⑥ 약액 주입 후 주입구멍에
도포제를 바른 다음,코르
크 마개 설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