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관수
|
교과명 |
조경관리 |
교사명 |
|
수업일시 |
|
능력단위 |
3장.조경식물의 관리 |
교재쪽 |
1045p |
평가방법 |
|
능력단위요소 |
2.초화류의 유지관리 |
최종수업목표 |
|
세부수업목표 |
|
필요매체
장비/재료 |
|
단계 |
학습활동 |
학습내용 |
메모 |
|
3. 관수
(1) 초화류의 관수
① 기상조건, 토양조건,초종,식재지의 특성,관리요구도 등을 고려
② 기상조건은 관수의 빈도 및 양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고온 건 조로 가물어 증발산량이 많아지면 관수의 빈도 및 양을 증가시 킬 것
③ 초화류의 관수 빈도는 생육기 에 2〜6회/주 관수
④ 개화중인 묘는 물이 꽃에 젖지 않도록 하며 가능한 근원부분에 관수
⑤ 토양이 충분히 젖도록 관수하되,적어도 토양이 5cm 이상 젖도록 관수
⑥ 일년초 중 추파 일년초는 건조에 약하므로 관수관리를 배려하여 설계
(2) 화단의 관수
① 한번 관수할 때 물을 충분히 주어 토양 깊이 적셔지도록 관수
② 화분 관수 시 분 밑으로 물이 새어나올 정도로 관수(염류의 용탈이 용이)
③ 손으로 물주기,스프링클러,점적관수 등의 방법으로 관수
④ 배수 불량 시 뿌리의 고사- 배수로, 모래 혼합,하부 자갈 등 적용
|
I 관수의 시기
① 파종 후에는 씨가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매일 관수하며, 발아초기에는 건조하지 않을 정도로 관수한다.
② 어린 모종 이식 후에는 약 2주 동안 모종상의 건조에 주의하 고 활착 후 위조현상을 보이 기 직전에 관수한다.
③ 하루 중의 관수는 봄과 가을 에는 오전 일찍,여름철에는 건조상태를 보아 오전,오후 두어 차례,겨울철에는 냉해 방지를 위해 데워서 오전 10~11시경에 실시한다.
I 월동관리
① 화단의 부지선택 :움푹 들어 간 지역 및 건물주변 등 배 치 및 방향 고려
② 보온막 설치 및 가온幼D 溫)
③ 내한성 증진식물을 사용
|
💖 부운영자님 에게 암호화폐로 후원하기 💖
아이콘을 클릭하면 지갑 주소가 자동으로 복사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