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포장관리
(1) 포장의 대상과 유형
① 자전거 및 관리용 차량도로: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시멘트콘크리트 포장
② 보도,광장,원로:블록포장(평판블록,인터록킹블록,벽돌 등) 타일포장,화강석 및 자연석 평판포장,토사(풍화토)포장
(2) 포장관리를 위한 고려사항
① 지하 매설물(전화,상하수도,가스)의 파손점검
② 도로포장에 설치된 배수시설 점검
③ 기능적 상태의 충족도 점검
(3) 토사포장(토사 • 풍화토 • 자갈 및 쇄석 • 세사 포장)
1) 포장방법
① 기존의 흙바닥을 고른 후 다짐하거나 자갈이나 깬돌에 모래 •점토를 적당히 섞은 혼합물(노면자갈)을 30〜50cm 다짐
② 노면자갈의 최대 굵기는 30〜50mm 이하가 이상적이며,노면 총 두께 의 1/3 이하
③ 점토질은 10% 이하,모래질은 30% 이하가 적당
2) 점검 및 파손원인
① 너무 건조하거나 심한 바람에 의한 먼지
② 강우에 의한 배수불량,지하수 침투(흡수)에 의한 연약화
③ 노면에 침투한 수분의 동결,해동될 때의 질퍽해짐이나 연약화
④ 차량통행의 증가 및 중량화로 노면의 약화 및 지지력 부족
노면 자갈의 혼합비율
재료 |
크기(mm) |
혼합비율 ( % ) |
자갈 |
30~50 |
55~75 |
모래 |
2~0.07 |
15~30 |
점토 |
0.07 이하 |
5~10 |
3) 개량방법
① 지반치환공법 : 동결심도 하부까지 모래질이나 자갈로 환토
② 노면치환공: 노면자갈을 보충하여 지지력 확보
③ 배수처리공법 : 물의 침투방지를 위한 횡단구배유지,측구의 배수,맹암거로 지하수위 조절
4) 보수방법
① 흙먼지 방지(방진) :살수,약품살포,역청재료(아스팔트류)혼합법 등의 일시적 방법
② 노면요철부 처리 : 배수가 잘되는 모래 •자갈로 채워 다지며 건조시에는 약간의 물을 살포 후 시공
③ 노면안정성 유지 : 노면횡단경사를 3〜5%로 유지하고 일정한 노면두께 유지
④ 동상(凍上) 및 진창흙 방지 : 흙을 비등상성재료(점토나 흙질이 적은모래,자갈)로 바꾸거나,또는 배수시설(개거, 암거)로 지하수위를 저하시키며,자갈 등으로 치환공법 시행
⑤ 도로배수: 배수불량지역의 도로는 양측에 폭 1m, 깊이 1m 의 측구 굴착 후 자갈,호박돌, 모래 등으로 치환하거나 노상층 위에 30cm 이상 모래층 설치
토사측구

(4)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1) 포장구조 : 노상위에 보조기층(모래 •자갈) 기층,중간층 및 표층의 순으로 구성
아스팔트 포장 표준 단면도 및 구조 단면도

2) 점검
① 노면 상황조사 : 개략적 상황판단 현지조사- 균열조사,요철조사
② 노면 상세조사 : 처리방법 결정을 위한 조사 - 처짐량조사,균열조사, 요철조사,미끄럼저항조사,침하량조사,마모•박리조사
3) 파손원인
① 균열 : 아스콘 혼합물의 배합불량(아스팔트량부족, 점도불량),아스팔 트 노화,기층 지지력 부족,포장두께 부족,부등침하, 시공이음새 불 량 등
② 국부적 침하: 기초 노체(路體)의 시공불량(성토다짐 •혼합물•전압 부족), 노상지지력 부족 및 불균일(부등침하)
⑤ 파상의 요철 : 기층•보조기층 및 노상의 연약에 따른 지지력 불균일, 아스팔트의 과잉, 차량통과 위치의 고정화,아스콘 입도불량 및 공극 력 부족
⑤ 표면연화 : 아스팔트량의 과잉이나 골재의 입도불량 및 공극률 부족
⑥ 박리 : 표층의 품질불량(아스팔트의 부족,혼합물의 과열,혼합불량), 지하수위가 높은 곳,차량의 기름 떨어짐 등
4) 보수방법
① 패칭공법 : 균열,국부적 침하,부분적 박리에 적용(일시적 응급보수 공법)
- 시공순서 : 파손부분 4각형으로 따내기 --> 깨끗이 쓸어내고 텍코팅 --> 아스팔트(가온, 상온)혼합물 투입 --> 롤러,콤팩터,래머 등으로 다지기 --> 표면에 석분이나 모래 살포
- 구멍깊이가 7cm 이상일 경우 2층으로 포설 •전압
- 가열식일 경우 표면온도가 손을 댈 수 있을 정도일 때 교통 개방
② 표면처리공법 :차량통행이 적고 균열정도와 범위가 심각하지 않은 훼 손포장에 적용(일시적 응급보수공법)
- 골재 또는 아스팔트만으로 균열부분을 메우거나 덮어 씌워 재생
- 시공순서 : 균열부분 쓰레기 •먼지 제거 -->아 스팔트 도포 -->균열부에서 나오는 혼합물 제거
③ 덧씌우기 공법 : 균열•파손장소를 패칭과 같은 방법으로 부분보수한 뒤 새로운 포장면 조성
- 시공순서 : 기존 포장면층의 청소 --> 코팅 --> 아스팔트 혼합물포설
④ 꺼진곳 메우기(혈매) : 표층의 경미한 국부적 침하에 사용
⑤ 치환설치 : 노상, 노체의 국부적 침하에 의한 파손에 적용
⑥ 파상요철에 의한 훼손 : 튀어나온 부분 깎기 --> 쇄석살포 --> 전압(심할 때는 덧씌우기로 시공)
⑦ 표면연화에 의한 파손 : 석분이나 모래를 균등하게 살포 후 전압
⑧ 박리 : 패칭이나 덧씌우기공법을 적용하며 경미한 경우 메우기법으로 처리
(5)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1) 포장구조 : 보조기층이나 기층(일반적으로 생략)위에 시멘트 콘크리트판의 시공으로 표층구성
① 온도변화나 함수량변화 등에 의한 파손을 줄이기 위해 5~7m 간격으로 가로•세로,수축•팽창줄눈 설치
② 무근포장이나 6mm 지름의 철망(mesh)을 넣은 철근삽입포장으로 설치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단면

2) 파손원인 및 형태
① 콘크리트,슬래브 자체의 결함 : 슬립바(slipbar)•타이바(tiebar)의 미
사용,줄눈의 설계 •시공 부적합,물시멘트비 •다짐 •양생 등의 결함
② 노상 또는 보조기층의 결함: 지지력 부족, 배수시설 부족,동결융해
③ 파손형태 :균열,융기(blow-up), 보조기층 펌핑에 의한 침하,줄눈에 의한 단차현상,표면의 박리,마모에 의한 바퀴자국 등
파손형태 모식도

3) 보수방법
① 줄눈 및 표면의 균열 : 설계의 부적합,시공양생의 불량,노상•노반의 불량,노화,결빙 등에 의해 발생
- 충전법(겨울 시공금지): 청소 --> 접착제(프라이머)살포 --> 충전재주입 --> 건조한 모래 살포
- 꺼진 곳 메우기 : 청소-->아스팔트유제 도포--> 아스팔트모르타르(균열폭 2cm 이하)나 아스팔트 혼합물(균열폭 3〜5cm)메우기
- 덧씌우기 : 균열상태가 크거나 전면적으로 파손될 염려가 있는 경우 포장수명 연장법으로 아스팔트 혼합물 피복
- 모르타르 주입공법 : 포장판과 기층과의 공극에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포장판을 원래의 위치로 들어 올려 기층의 지지력을 회복하고 펌 핑 현상 방지
- 순서 : 포장판에 구멍뚫기 --> 압축공기로 청소(점토가 있는 곳은 석분 도포)--> 아스팔트나 시멘트 모르타르 주입-->마개막기-->굳은 후 마개부분 채우기一시멘트의 경우 3일간 양생
- 패칭 : 포장의 훼손이 심하여 보수가 불가능 할 경우에 사용
- 순서 : 파손부 청소--> 파손된 노면 걷어내기--> 슬래브 및 노면 면고르기 -->콘크리트 혼합물 넣고 슬래브 면고르기-->필요기간 동안 양생
② 콘크리트 슬래브 꺼짐 : 노상•노반의 결함,표면균열로 우수가 침투하여 노반의 파손(공극)으로 발생
- 포장꺼짐 이전이나 초기 발견 시 주입공법으로 예방가능
- 정도가 심한 곳은 꺼진 곳 메우기, 패칭공법으로 보수
③ 표면박리 : 저온(-5°C 이하)이 오랫동안 지속된 경우에 발생하며,약간의 훼손인 경우 접착제(프라이머),시멘트풀(paste) 등을 바르고,심한경우 시멘트모르타르나 아스팔트모르타르 바르기 실시
(6) 블록포장
다른 포장재료에 비하여 용이한 유지관리가 장점
1) 포장유형 : 재료나 제품에 의해 구분
① 시멘트 콘크리트 재료 : 콘크리트 평판블록,벽돌블록,인터록킹블록
② 석재료:화강석 평판블록,석판블록
③ 목재료: 목판블록
2) 포장구조
① 노상상태가 좋을 경우 모래층만 4cm 정도 균일하게 깔고 평판블록 부설
② 노상상태가 좋지 않거나 무거운 물건의 운반이나 보도이용자가 빈번한 곳은 노반층을 6cm 정도 쇄석으로 추가 설치
③ 평판과의 이음새 폭은 3〜5mm로 하나 미관상으로는 5mm가 적당
평면블록 포장단면도

3) 파손원인
① 블록모서리 파손: 제품 자체의 소요강도 부족(재료 배합비 및 양생방 법 기준),무거운 하중운반,블록의 부등침하
② 블록 자체파손 : 제품 생산과정 불량(재료배합비 및 양생방법,양생기 간의 부족)
③ 블록포장의 요철,블록과의 단차,포장표면의 만곡 : 지반자체가 연약 지반이거나 노반의 쇄석 및 안전모래층(cusion층)의 시공 잘못으로 인한 부등침하
4) 보수순서 :
보수 위치 및 영향권 결정 --> 블록 제거 및 재사용재 분리 -->안정모래층 및 노반층 보수--> 기계전압(compacter, rammer)--> 모래층 수 평고르기(두께 5m 정도) 후 블록깔기-->가는 모래로 이음새 채우기
|
I 노면자갈이 없을 때에는 풍화토, 왕사, 광산폐석, 쇄석 등 사용
| 약품살포
고체 또는 액체의 염화칼슘, 염
화마그네숨,식염 등을 0.4〜0.5kg/m2 정도 살포한다.
I 패칭공법 종류
① 가열혼합식 공법
② 상온혼합식 공법
③ 침투식 공법
■ 텍코팅
이미 시공한 아스콘이나 중간 층 위에 새로운 아스콘층을 시공하기 전에 위아래 두 개층의 접착을 위해 역청재료를 살포 하는 것을 말한다.
I 평핑현상
균열부로 우수가 들어가 지층
이 질퍽해지고 슬래브하중에
의해 지층의 진흙이나 모래가
올라와 포장하부에 공극이 생
기는 것

I 심한 균열보수
콘크리트 포장에 균열이 많아
져서 전구간에 걸쳐 파손될 염
려가 있는 경우에는 전단면 보
수를 한다.
I 비접착 덧씌우기
기존 콘크리트 포장과 콘크리
트 덧씌우기 사이에 분리층을
두어 두 층을 분리하도록 설계
I 슬래브 안정화 유지공법
펌핑에 의한 슬래브 하부공극
을 시멘트그라우트를 이용하
여 공극을 채워 하부구조의 지
지력의 손실에 의한 단차나 우
각부 균열을 방지하는 데 이용
된다.
I 패칭공법
콘크리트포장 슬래브의 균열
이 많아져서 균열사이를 충전하거나 꺼진곳메우기 방법으로 메워질 수 없을 때, 전면적으로 파손이 심하여 보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때 사용한
다.
I 파손점검
① 제품자체 파손: 블록모서 리 파 손,블록표면 시멘트 페이스 트유실,블록자체부서지기
② 시공불량 파손:블록포장요 철(평판의 부등침하), 블록 과의 높이차(±2mm 이상, 포장표면의 만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