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비탈면 관리
|
교과명 |
조경관리 |
교사명 |
|
수업일시 |
|
능력단위 |
04장.시설물 유지관리 |
교재쪽 |
1124p |
평가방법 |
|
능력단위요소 |
2.기반시설의 유지관리 |
최종수업목표 |
|
세부수업목표 |
|
필요매체
장비/재료 |
|
단계 |
학습활동 |
학습내용 |
메모 |
|
3. 비탈면 관리
( 1 ) 비탈면 보호시설 공법
① 식생공 : 종자쁨어붙이기공,식생매트공, 떼붙임공,식생띠공,줄떼심기 공,식생판공,식생자루공,식생구멍공 등
- 식생에 의한 비탈면 표층부의 안정 도모
- 토양이나 풍화토로 된 곳으로 붕괴우려가 적은 비탈면에 적용
② 구조물에 의한 보호공 : 모르타르붙임공,콘크리트붙임공,돌붙임공, 콘크리 트격자블록공,콘크리트판설치공,비탈면앵커공,편책공,비탈면돌 망태공 등
- 식생이 부적당한 곳
- 풍화,용수 등에 의해 붕괴우려가 있는 곳에 적용
③ 낙석방지공: 낙석이 우려되는 곳에 적용
- 낙석방지망공 : 자갈 섞인 토사,풍화암 등 작은 낙석이 있는 곳에 적용
- 낙석방지책공:큰 낙석이 예상되는 절리나 균열이 많은 암석비탈면에 적용
④ 배수공 : 우수나 용수에 의해 세굴이나 표층 무너 짐 이 많은 곳에 식생공, 콘크리트격자블록공, 철망덮기 등과 병용
( 2 ) 점검 및 파손형태
① 성토비탈면 : 점검 전 성토시기,구조,토질형상,주위의 유수상태,기초 지반 및 환경상태 등 파악
- 식생번식상황, 비탈면 침식유무
- 비탈면이나 비탈어깨부분 배수로의 상태
- 비탈면의 균열•삐져나옴,비탈어깨의 균열 유무(붕괴의 징조로 진행 과정 체크)
- 보호공의 균열,변형,꺼짐 등의 체크 및 진행성 확인
- 배수공의 막힘 등 기능상태 및 변화유무 체크
② 절토비탈면 : 점검 전 형상,용수상태,어깨부분상태,집수범위,보호공의 상태 등 파악
- 특히 토사비탈면(토질•지질의 특수조건,표토층 두께 등)과 암석비탈 면(풍화정도,암석틈새상황,지질의 특수조건 등)의 실태 파악이 중요
- 성토비탈면 점검과 다르지 않으나 비탈어깨부분의 집수상황과 비탈 면의 용수상태 변화 등에 유의
(3) 식생공의 유지관리
① 연 1회 이상 시비 및 추비 :화학비료나 액비엽면산포로 가급적 약한 농 도로 여러 번의 시비가 적당
② 잡초제거 및 풀베기작업 :들잔디류,버뮤다그라스 등 음지생장이 곤란한 초종에 적용
- 들잔디로만 비탈면을 유지할 경우 크로바,쑥, 바램이 등을 인력으로 뽑거나 제초제 살포
- 식생의 풀베기는 너무 짧게 하면 생육이 약화되어 침식되기 쉬우므로 초장이 10cm 이상 필요하고, 6~10월 사이 인력이나 기계로 수 회 시행
③ 관수 및 병충해 방제 : 가묻이 심할 때 관수하며 병충해방제를 위해 수시 로 예찰을 실시하고 방제
④ 상단부 관리에 중점 : 비탈면 식생은 하단부보다 상단부의 비탈어깨부분 의 상태가 나쁘므로 중점관리 필요
⑤ 강제식생도입 : 식생지 일부 나지비탈면에 침식이 발생되면 빠른 속도로 진행되므로 녹화와 동시에 침식방지 중요
공법별 식생공 유지관리
===========> 나중에
( 4 ) 비탈면보호공 유지관리
① 보호공 자체의 노후화 : 해당 부분만 보수해도 좋은 경우가 있고,사정에 따라 그대로 두어도 안정을 유지하는 것도 존재
② 비탈면 자체의 변형 :붕괴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충분히 조사 후 대책 필요
③ 비탈면의 파괴는 지표수,지하수의 처리 불량으로 많이 발생
④ 특히 비탈면배수공의 기능유지는 높은 비탈면이나 큰 절토면에서 매우 중요
보호공의 유지관리 항목
====> 표 나중에
|
I 비탈면 보호의 부가내용은
[시 공구조학-토양 및 토질]참조
© 식생에 의한 비탈면 표층부의 안정 도모
I 비탈면 유형
① 자연비탈면
② 절토비탈면
③ 성토비탈면
I 비탈면 점검
① 년 1〜2회 정기적 점검
② 강우에 의한 지표면 세굴
③ 구조물의 균열 및 변형
④ 무너져 내려앉아 꺼진 곳
⑤ 경사면이 삐져나온 곳
⑥ 비탈면 배수공의 배수상태
|
💖 부운영자님 에게 암호화폐로 후원하기 💖
아이콘을 클릭하면 지갑 주소가 자동으로 복사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