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자연풍경식재
( 1 ) 개념과 원리
① 자연풍경과 유사한 경관을 재현하거나 상징화하여 식재
② 인위적인 시각적 질서 배제
③ 자연스러운 지형에 의한 땅가름이 기본
④ 비대칭적 균형감과 심리적 질서감에 초점
⑤ 정형식에 비하여 수종의 선택과 식재가 자유로움
⑥ 평면구성 보다 입면구성에 중점을 두고 식물재료의 자연미 강조
(2) 비대칭적 균형식재
① 자연경관 속의 수목의 형태,집합상태, 상호연계로부터의 균형을 인용 하여 무수히 창출 가능
② 경관의 변화는 매우 다양하고 그 시각적 인상은 항상 신선
③ 비대칭적 아름다움은 대칭형에 없는 유연성 보유
④ 자연과 인공 같은 이질적 요소를 조화시키는 수단으로도 효과적
⑶ 사실적 식재
① 실제로 존재하는 자연경관을 충실히 묘사하여 재현하는 방법
② 18세기 영국의 사실주의적 풍경식 조경수법
- 목가적인 영국전원의 풍경을 그대로 재현시키고자 한 것
- 작가의 주의와 주장,취미에 따라 실제적인 식물재료나 구성 및 밀도등은 자연과 다르나 외형적 형태나 분위기만은 마치 어딘가에 존재하 는 듯한 자연적 경관 구성
③ 식재수법 예
- 19세기 말 영국 윌리엄 로빈슨(William Robinson)이 제창한 야생원 (wild garden)
- 20세기 브라질의 벌 막스(Burle Marx)가 시도한 ’원시적 천연식생 가 미 수법
- 고산식물을 심어놓은 암석원(rock garden)
(4) 자연풍경식재의 기본 패턴 - 주목(主木)의 비중이 매우 큼
1) 부등변삼각형식재: 각기 크기가 다른 세 그루의 수목을 서로 간격을 달 등직선에 서지 않도록 하는 수법 - 정원수의 기본패턴
① 부등변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각각의 수목을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비 대칭균형을 이루게 한 것
② 동양화의 기본수법에 근거를 둔 것으로 세 그루가 균형을 이뤄 자연 스러움 표출
③ 시점과 나무의 시각적 특성,배식간격 등을 고려하여 균형감이 느껴 지도록 식재
2) 임의식재(random planting): 나무의 형상•크기 •식재 간격 등이 같지 않고, 한 직선을 이루지 않도록 식재하면서 다량의 수목을 배치하는 수법
① 부등변삼각형을 기본단위로 하여 삼각망을 순차적으로 확대
② 서로 다른 수목이 전후좌우로 배치되어 수관이 불규칙한 자연스러운 스카이라인 형성
3) 모아심기 : 몇 그루의 나무를 모아 심어 단위수목경관을 만드는 식재방법
① 주변과는 무관하게 그 자체로 마무리
② 부등변삼각형 의 세 그루•다섯 그루• 일곱 그루 심기 등과 같이 홀수 식재 -기식
4) 무리심기(군식) : 모아심기보다 좀 더 다수의 수목을 단위경관 내에 식재 하는 방법
① 하나의 식재단위로 마무리되기보다는 넓은 지역의 부분경관으로 사용
② 적당한 간격으로 산재시켜 소림(疏林)의 경관 조성
5) 산재식재 : 한 그루씩 드물게 흩어지도록 심어 하나의 무늬와 같은 패턴을 이루게 하는 수법
6) 배경식재 : 하나의 경관에 있어서 배경적 역할을 구성하기 위한 수법
① 식재은 임의식재 수법 준용
② 주경관을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시각적으로 두드러지지 않게 암록색•암회색 등의 수관이나 수피를 가진 수목 적합
7) 주목(主木): 경관의 중심적 존재가 되어 전체경관을 지배하는 수목이나 수목군을 이르며 경관목이라 지칭
① 그루 수에 관계없이 독립수로 할 수도 있고 식재군 내에 삽입 가능
② 수목의 시각적 특성(형태 •크기 •색채 등)이 뚜렷해야 효과적
③ 주목의 특징은 그 경관의 성격을 제시하는 것과 동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