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수목과 토양의 특성
(1) 식물의 생육조건
① 식물의 뿌리가 자유로이 신장할 수 있는 공간이 토층 안에 확보되어 있을 것
② 식물뿌리에 대해서 적정량의 공기(산소)를 항시 공급할 수 있는 토양구조일 것
③ 식물뿌리에 대해서 적정량의 양분과 수분을 항상 공급할 수 있는 토양 특성을 가지고 있을 것
④ 식물뿌리가 생육하는 범위 또는 그 영향권에 유해한 성분이 많이 포함 되지 않을 것
⑤ 자연토양에서는 식생의 작용에 의해서 풍화가 촉진되어 토층은 깊고 층위분화가 진행되며,표층은 팽연하고 뿌리 발달에 적합한 조건일 것 부드럽게 부풀어 푹신한상태
⑥ 인공지반의 경우도 생육에 필요한 수분과 양분 및 호흡작용에 필요한 공기를 확보함과 동시에 근계의 보존이 가능한 깊이를 확보할 것
(2) 토양의 물리적 성질
1) 토양의 구성
① 토양 3상
- 고체상 : 50%(광물질 45%, 유기물 5%)
- 액체상: 25%(물)
- 기체상: 25%(공기)
② 토양은 입자의 거침에 따라 사토•사양토•양토•식양토•식토로 나뉘며 후자로 갈수록 점토의 양이 증가
③ 수목의 생육에는 보수력과 통기성이 좋고 양분의 흡수력과 점착력을 가진 토양이 유리
④ 수목의 생육에 알맞은 토양은 사양토•양토로 깊은 토층이 적합
⑤ 모래를 많이 함유한 흙은 총공극량이 적 어 보수력 이 낮고 건조하기 쉬워 한해(單■害)에 노출되기 쉬움
⑥ 진흙을 많이 함유한 흙은 총공극량이 많기는 하나 하나하나의 공극이 극히 작아 투수성이나 통기성이 불량하여 근계의 발달 저해
⑦ 흙의 입자는 단독으로 흩어진 상태보다는 서로 뭉쳐져 덩어리진 입단구조(植團構造 단립구조)가 유리
⑧ 식물의 생육에 알맞은 입단의 굵기는 1〜5mm이고 0.001mm 이하의 공극에는 근모(根毛)의 침 입 불가능
2) 토양의 단립구조 형성법
① 퇴비 둥의 유기질 비료를 주고,토양속의 유기질의 양을 많게 할 것
② 도랑 등을 만들어 배수를 좋게 할 것
③ 사토의 경우 식토 같은 점토질 흙을,식토에는 사질이 많은 사토 객토
3) 토양의 개량
① 식토 : 깊이 갈아엎어 잘 풍화시키는 한편 모래를 적절히 혼합하고 퇴 비나 석회를 넣어 입단화유도
② 사력토 : 보수성이 낮고 양분의 흡착력이 약하므로 점토나 퇴비를 넣 어주며 가끔씩 관수
③ 강산성토 : pH4.0 이하의 강산성토에는 탄산석회나 소석회를 넣어 산 도교정
④ 염해지 : 해안매립지 등에서 볼 수 있으며 벙어리암거를 매몰하여 배 수를 도움으로 염분 제거
⑤ 광해지 : 광산이나 공장지의 광물질유해성분을 함유한 땅으로 점토를 객토하거나 면적이 좁을 때에는 표층토를 최소유효심도까지 교환
토성에 따른 수종 구분
4) 토양의 견밀도 : 토양의 역학적 성질로 토양 속의 뿌리의 신장에 영향
토양견밀도에 따른 수종구분
( 3 ) 토양의 수분
① 식물의 모근(毛根)에 흡수되는 염류의 용제 역할
② 잎에서 이루어지는 광합성에 필요한 수분의 원천
③ 지표로부터 증발에 의한 지온의 조절
④ 토양수분의 흡착력 의 크기는 PF로 표시
⑤ 토양수분은 흙 입자와 물이 결합하는 힘 에 따라 구분
- 결합수(pF7 이상) : 흙 입자와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수분으로 식물이 직접 이용할 수 없으며 가열하여도 제거 불가능
- 흡습수(PF4.5~7 ) : 흙 입자 표면에 분자간 인력에 의해 흡착되는 수분 으로 식물이 직접 이용할 수 없으나 가열에 의해 제거 가능
- 모관수(PF2.54~4.5): 흙 공극의 표면장력에 의해 유지되는 수분으로 pF2.7~4.2 의 유효수가 식물에 직접적으로 이용되는 물
- 중력수(PF2.54 이하) : 중력에 의해 토양사이를 이동하거나 아래로 이 동하여 지하수의 원천이 되는 물
⑥ 식물은 토양수분이 pF4.2에 도달되면 고사하며,이점을 ‘영구위조점’ 이라 지칭 - ‘초기위조점’ pF3.9에 도달되기 전에 관수
⑦ 토양의 과습상태는 공기가 접하는 간극이 적 어지므로 산소공급이 부족 하여 호흡장애에 의한 조직의 괴사, 뿌리썩음으로 진행
⑧ 지하수위의 깊이는 잔디의 경우 -60cm 이하라야 하며, 가급적이면-100cm 정도가 되어야 하고 수목의 경우는 더 깊은 것이 좋음
⑨ 지하수위가 높은 습지에서는 배수설비를 갖춘 후 식재
(4) 토양의 공기
① 작물의 근군(根群)의 발달과 생육을 위해 필요
② 토양 미생물의 활동과 번식에 영향
③ 공기 의 부족으로 인한 토양의 비료성분 변화
④ 뿌리의 호흡을 위해 필요하며 뿌리의 활력에 영향을 미쳐 수분 및 양분 의 흡수에도 관여
⑤ 토양의 공극은 물과 공기로 되어 있어 강우나 온도에 따라 공기량이 달 라지며,토성 •토양구조•지하수위 등에도 달라짐
⑥ 뿌리의 호흡량은 극히 많아 토양공기 전체의 10% 이상의 산소가 필요 하며 2% 이하가 되면 질식
내수력에 따른 수종 구분
토양수분에 따른 수종 구분
(5) 토양의 화학적 성질
1) 토양양분
① 탄소, 수소,산소 : 탄산가스와 물에서 취득
② 질소, 인산,칼슘,마그네슘,칼륨 등 : 토양에서 취득
③ 보통의 토양은 질소나 인산이 부족하게 나타나나 식물은 질소의 요구량이 크게 나타남
④ 절개지나 매립지는 토양양분이 결핍되므로 밭흙과 같은 비옥한 토양을 객토하거나 질소,인산,칼름의 원소를 비료로 공급
⑤ 양분요구도와 광선요구도는 보통 상반된 관계를 지님
⑥ 사질토는 점토질의 토양보다 질소가 결핍되기 쉽고,산성토양이나 유기물이 적은 토양도 질소가 결핍되기 쉬우므로 퇴비 등의 부식질을 많이 주는 것이 적당
⑦ 지력이 낮은 척박지에서는 비료목을 식재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각종 원소
토양양분에 따른 수종 구분
2) 토양반응
① 자연상태의 토양은 산성이기에 식물은 약산성에 적응성을 가진 것이 다수
② 물속에 함유된 수소이온이 토양입자와 결합되고,수소이온이 점차적 으로 알루미늄이온과 치환되어 토양은 산성으로 변화
③ 연간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산성토양이 지배적
④ 우리나라 농경지의 경우 ph5.0〜6.5, 삼림토양의 경우 pH4.5〜6.5의 범위로,토양의 산성이 미치는 영향은 과소
⑤ 콩과식물은 PH6.0 이상에서 좋은 생장•생육
⑥ 도시환경의 건조토양은 석회분을 함유한 콘크리트의 존재로 알칼리
화경향
토양반응에 따른 수종 구분
( 6 ) 토양유기물과 부식
1) 유기물 : 식물을 비롯하여 동물• 미생물 등의 유체
① 유기질 자체는 식물에 대해 직접적인 영양원의 구실불능
② 양분의 공급원, 토양의 물리적 성질 개선,비료성분의 흡수유지,
토양 반응에 대한 완충 등의 작용
2) 부식( 務植 humus) : 토양 속에서 분해나 변질이 진행된 유기질로 양이온치환능력이 매우 높으며 토양의 부식질함량은 5〜20%가 적당
3) 표층토
① 표층토는 A층이라고도 하며 표층토의 깊은 토층이 수목에 적당
② 표층토는 부식질을 함유하고 있어 흑색을 띠게 되나 하층토는 함유량이 적으므로 고유의 색채가 나타남
③ 표층토는 부식질이 우수의 침투와 함께 하층의 광물질토양 속으로 침입하여 비옥해지며 하층토에 비해 연하고 공극 많음
④ 부지조성 시 기존의 표층토를 긁어모았다가 식재할 때 사용
식물의 생육토심(조경설계기준)
수목식재상 최소토양층의 깊이 |
토심에 따른 수종 구분
|
| 팽연(勝軟)
부드럽게 부풀어 푹신한상태
I 토양의 4대성분
① 광물질(무기물)
② 유기물
③ 물
④ 공기
I 토성에 따른 점토의 비율
구분 |
점토의 비율 |
사토
|
12.5% 이하
|
사양토
|
12.5~25%
|
양토
|
25~37.5%
|
식양토
|
37.5~50%
|
식토
|
50% 이상
|
I 토양경도
식물의 착근 및 생육가눙성 판 단척도로서 •외력에 대한 토양 의 저항력을 말하며,토양히 경화되면 뿌리의 신장이 저해 되거나 물의 이동이 되지 않아 식물의 생육이 불량하게 된다. 토양경도는 보통 24mm 이하 일 때 식물 뿌리의 신장이 활 발하다. 가는 뿌리의 경우 18- 20mm일 때는 발달이 용이하 나, 24~25mm에서는 저해를 받으며 26mm 이상에서는 신 장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식 물의 근계생장에 가장 적당한 토양경도는 18~23mm로 본다.
■ 물의 영향
① 광합성의 원재료
② 호흡,생장,영양, 생식 등 모든 생리작용에 필요
■영구위조점
; 식물은 토양수분이 점차 감소 I 되면 시들기 시작하다가 습도
가 높은 대기 중에 놓이면 다 시 회복된다. 이와 같이 토양 수분이 감소됨에 따라서 식물 이 시들기 시작하는 수분랑을 초기위조점 (일시위조점)이라고 하며, 초기위조점을 넘어 계속 수분이 감소되면 포화습도의 공기 중에 놓인다 하더라도 시 든 식물은 회복되지 않는다. 이때의 수분량을 영구위조점 이라 한다.
I 식물생육요소
① 다량요소 : 탄소,수소, 산소, 질소, 인산, 칼숨,마그네숨, 칼륨,유황
② 미량요소 : 철,망간,동,아 연, 붕소, 몰리브덴,염소
I 비료목
근류균(根痛菌)을 가진 수종으 로서 근류균에 의한 공중질소의 고정작용을 이용하여 질소를 다 량으로 함유한 낙엽이나 낙지 (落技)를 토양에 반환시켜 토양 의 물리적 조건과 미생물적 조 건을 개선하는 한편 토양질소의 증가와 부식의 생성을 꾀하고자 하는 나무 - 질소고정 미생물 Azotobacter, Rhizobium, Clostridium
I 근류균을 가진 수목
다릅나무, 아까시나무,자귀나 무, 싸리, 족제비싸리,골담초, 칡, 보리수나무, 보리장나무, 자작나무, 오리나무, 사방오리 나무, 물오리나무, 소귀나무, 금송, 백선,소철
I 부식(humus)의 기능
① 토양의 입단화로 물리적 성
질개선
② 부식이 양분을 홉수•보유하
는 능력이 커 암모니아칼륨
석회 둥의 유실 방지
③ 토양미생물의 에너지 공급
원으로 유기물의 분해촉진
④ 토양 내의 공극형성으로 공기와 물의 함량 및 보비력 증대
⑤토양내 용수량 증가로 한발 경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