春望[춘망] / 杜甫
國破山河在[국파산하재] 나라는 파괴 되어도 산과 강은 그대로 있고
城春草木深[성춘초목심] 장안에 봄이 오니 초목은 푸르기만 하구나
感時花濺淚[감시화천루] 때에 느낌이 있어 꽃도 눈물을 뿌리네
恨別鳥驚心[한별조경심] 이별이 한이 되어 새들도 가슴 놀라네
烽火連三月[봉화연삼월] 봉화가 여러 달 연이어 올라 가는구나
家書抵萬金[가서저만금] 집에서 오는 편지는 만금과도 바꾸지 못하는데
白頭搔更短[백두소경단] 흰머리를 긁어대니 다시 숱이 줄어
渾欲不勝簪[혼욕불승잠] 아무리 애를 써봐도 관비녀를 꽂지 못하겠네
註: 濺...뿌릴천
三月[삼월]...三자에는 셋도 되지만 거듭, 자주, 여러번 이라는 뜻도
있다. 여기서 특별히 책력상으로 삼월에 뜻이 없는한
“거듬”이나 “자주”로 역했다.不佞의 생각이니 잘못이
있다고 생각 하시면 지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後記: 이 詩는 唐 肅宗때 안록산의 난이 일어나 장안이 난적들에게
함락 되고 두보도 장안에 포로 생활을 할 때 지은 작품이다.
나라가 망하고 주변 모든것들이 모두 파괴 돼었는데도 초목들은
어김 없이 피는 자연의 무정함을 읊는다.제1,2 행은 名句중의
名句로 人口에 회자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