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itfind.or.kr/WZIN/jugidong/1086/108603.htm
1. 개요
가정을 디지털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홈 네트워크는 PC 및 각 정보가전기기 간의 정보전달과 공유를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에는 몇 가지 제약조건이 따른다. 그 중 우선 중요한 것으로는, 각종의 댁내 통신 기기 및 가전 제품이 공통으로 쓸 수 있는 표준규격을 만족해야 하고, 새로운 댁내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 기존 배선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또한 일반인이 손쉽게 인터넷 가전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사생활 보호를 위한 보안기능 및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리고 공중망과 분리하여 관리되는 기능이 있어야 하며, 차세대 멀티미디어 네트워크로의 진화가 용이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홈 네트워크는 여러 단체로부터 표준화가 신속히 진행되고 있는데, 그 형태는 크게 유선과 무선으로 분류된다. 유선형태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HomePNA (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IEEE1394, USB(Universal Serial Bus) 및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을 들 수 있으며, 무선형태로는 Bluetooth, HomeRF(Home Radio Frequency),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및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있다. 또한 미들웨어로는 HAVi(Home Audio and Video Interoperability standard), UPnP (Universal Plug and Play), JINI, OSGi(Open Services Gateway initiative) 및 EIA775.1/851 (이전의 Home Wide Web: HWW) 등이 있다.
홈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함께 홈 게이트웨이는 최근에 새로 생겨난 장치의 한 형태로서 미래의 가정정보화 실현을 위한 통신 및 접속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홈 게이트웨이는 댁내 환경에서 앞서 언급한 유무선 홈 네트워크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의 댁내망(LAN) 기술과, xDSL, 케이블, Optic 및 위성 등 하나 이상의 액세스망(WAN) 기술을 상호 접속 및 중재하고 그 상위 계층에 미들웨어 기술을 부가하여 가정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로 정의할 수 있다.